숙주인간 (3)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민청원까지 간 동계올림픽 팀추월 논란, "숙주인간" & "신과 개와 인간의 마음" 으로 바라보기 이번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팀추월 때문에 난리인 모양이다.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갔다고 하는데, 얼음판 놀이가 뭐 그렇게 국가적으로 중요한가 싶기도 하다.누구의 잘잘못이든, 누구가 옳고 누가 그르던 시간이 지나면 판가름 날 것이고 더 시간이 지나면 잠잠해질 것이기에 나까지 정신력을 소모하고 싶진 않고, 사태가 흘러가는 모양새를 여론이 아닌 읽었던 책의 관점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끄적여 본다. 숙주인간의 관점으로 본 팀추월 논란( 숙주인간 : 기생생물의 작용, 숙주의 대응이 인간의 정신에 미치는 영향 )도덕적 비난의 대상의 문제숙주인간 이라는 책을 보면, 기생생물(바이러스, 세균, 기생충 등)로 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 역겨움 반응이 발달 됐고, 이 역겨움 반응이 도덕적 판단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.. 북한병사 몸속의 기생충과 숙주인간 총 맞고 판문점을 넘어온 북한 병사의 몸에서 기생충이 나왔다는 뉴스를 보니, 바로 며칠 전 읽은 "숙주인간 : 기생생물의 작용, 숙주의 대응이 인간의 정신에 미치는 영향"이 안 떠오를 수가 없다. 책 내용은 숙주의 행동을 조정하는 개생생물(기생충, 바이러스 등)에 관한 것이다. 책의 관점이 아직 상당히 남아 있는 시점이라서 확실히 귀순병사의 행동에 관해 일반적이지 않은 원인이 떠오른다. 회충이 있다는 건 몸에 다른 기생생물들도 많을 것이라고 추정이 가능하고 뇌에도 자리 잡았을 것이다. 그런 기생생물의 영향이 절대적인 것 까지는 아니지만, 판문점을 돌파해 귀순할 마음을 먹는 것에 영향이 아주 없어보이지는 않는다. 책을 읽어보면 기생충에 시달리는 뇌는 약간 더 위험에 무감각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걸 알 수 있.. 숙주인간 : 기생생물의 작용, 숙주의 대응이 인간의 정신에 미치는 영향 제목부터가 자극적이다. 내용은 더 자극적이다. 하지만 지나치지는 않다.제목과 표지 내용을 보면 기생생물이 우리 몸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관한 내용일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. 이 책은 거기서 한 발 더 나간다. 어쩌면 너무 넓게 확장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. 다행히 저자는 상당히 조심스럽다. 담대한데 조심스럽다. 숙주인간 : 우리의 생각을 조종하는 내 몸속 작은 생명체 이야기 / This Is Your Brain on Parasites : How Tiny Creatures Manipulate Our Behavior and Shape Society. 캐슬린 매콜리프 ( Kathleen Mcauliffe )지음, 김성훈 옮김,이와우, 352쪽, 17000원 한줄평 : "기생생물의 작용, 숙주의 대응이 .. 이전 1 다음